제사에서 사용하는 지방 쓰는법을 알려드릴게요.
1. 지방(紙榜)이란?
제사에서 신위를 대신하는 종이로, 돌아가신 분을 모시는 상징적인 역할을 합니다. 보통 한지에 붓이나 펜으로 작성하며, 위패를 사용하지 않을 때 대신 사용합니다.
2. 지방 작성법
지방을 쓸 때는 한자로 작성하는 것이 전통적이며, 아래 형식을 따릅니다.
① 지방의 기본 구조
한 장의 종이에 세로로 씁니다.
- 1줄: 고인의 직위 (예: 顯考 / 顯妣)
- 2줄: 고인의 성씨와 이름
- 3줄: 신위(神位)
② 신위의 기본 표현
- 부모님(아버지 / 어머니) 지방 예시
- 아버지: 顯考 ○○府君 神位
- 어머니: 顯妣 ○○氏之神位
- 조부모님 지방 예시
- 할아버지: 顯祖考 ○○府君 神位
- 할머니: 顯祖妣 ○○氏之神位
- 증조부모님 지방 예시
- 증조할아버지: 顯曾祖考 ○○府君 神位
- 증조할머니: 顯曾祖妣 ○○氏之神位
- 외조부모님 지방 예시
- 외할아버지: 外祖考 ○○府君 神位
- 외할머니: 外祖妣 ○○氏之神位
3. 지방 쓰는법과 주의사항
- 글씨는 정자로 또박또박 쓰기
- 붓을 사용하는 것이 전통적이나, 요즘은 붓펜이나 검은색 펜도 사용 가능합니다.
- 한지는 세로로 길게 사용
- 보통 가로 68cm, 세로 2025cm 정도로 준비합니다.
- 고인의 성(姓)을 정확히 쓰기
- 예를 들어, 김씨 성을 가진 아버지라면 “顯考 金府君 神位”라고 씁니다.
- 어머니의 경우, 본관을 생략하고 “○○氏之神位”라고 씁니다.
- 지방의 위치와 방향
- 지방을 제사상이 아닌 **신위 뒤쪽(병풍 앞)**에 붙입니다.
- 제사가 끝나면 태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4. 지방 작성 예시

5. 지방 작성 후 처리 방법
- 제사가 끝나면 태우는 것이 원칙
- 종이에 쓴 지방은 제사가 끝난 후 바로 태워 하늘로 올리는 것이 전통입니다.
- 태운 재는 흐르는 물에 버리기
- 집 근처 하천이나 강물에 버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- 위패를 사용한다면 지방을 대신할 수 있음
- 위패를 사용하는 경우, 지방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.
마무리
지방은 돌아가신 분을 모시는 중요한 요소이므로, 정성을 다해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